회계 소독비부과기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순옥 작성일 05-03-09 12:01본문
수고하십니다..
도대체 소독비 부과기준을 어디로 물어봐야할지..몰라...
우선 여기에 문의해봅니다..
소독실시는 전세대를 하는데..
소독을 하지않은세대에서는
소독비 부과를 하면안된다고..
소독을 하지않았는데..소독비부과를 하는 기준을 제시하라는데..
주위아파트에 문의해보니..
실제로 소독을 실시한 세대만 부과하는 아파트도 있고..
소독실시여부와 관련없이 전세대를 부과하는 아파트도있고...
입주민에게 명확한 답변이 될수있는 자료가 없을까요?
도대체 소독비 부과기준을 어디로 물어봐야할지..몰라...
우선 여기에 문의해봅니다..
소독실시는 전세대를 하는데..
소독을 하지않은세대에서는
소독비 부과를 하면안된다고..
소독을 하지않았는데..소독비부과를 하는 기준을 제시하라는데..
주위아파트에 문의해보니..
실제로 소독을 실시한 세대만 부과하는 아파트도 있고..
소독실시여부와 관련없이 전세대를 부과하는 아파트도있고...
입주민에게 명확한 답변이 될수있는 자료가 없을까요?
Comment
김도원회계사님의 댓글
김도원회계사 작성일
어떤 세대가 자기 사정에 의하여 소독을 하지 않았다고 해서 소독비를 부담하지 못하겠다는 것은 말이 안될 것입니다.
우선은 소독용역이라는게 전세대를 대상으로 용역비를 책정하는 것이고 소독실시시에 소독을 안해도 된다거나 부재중으로 소독을 못하였다고 해서 소독비를 부담하지 않겠다면 안되겠죠... 공동생활을 하는 주민의 자세가 아닐 것입니다.
극단적으로 예를 들어 자기 세대는 차량이 없기 때문에 단지내 차도에 대해서 지출되는 비용은 부담하지 않겠다는 이야기가 성립될 수 없을 테니까요...
그리고 특정세대가 소독을 하지 않으면 이웃세대가 소독을 하더라도 소독의 효과가 반감될 것(소독안한 세대의 해충이 이웃세대로 옮겨올수 있으므로...)이므로 오히려 소독을 하지 않는 세대가 이웃에 피해를 줄수 있을 것입니다.
이상은 회계상담과 무관하여 제 개인적인 견해를 말씀드린 것입니다.